티스토리 뷰
목차
위암 발병률 3위 식습관의 서구화로 위험도가 증가한다
위암은 식습관과 가장 밀접한 질병이다. 식습관의 서구화로 인해 고지방, 육류를 즐겨 먹고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밀가루 음식을 다량 섭취하고, 맵고 짜게 먹는 습관 등으로 인해 위암의 발병률이 증가하여 암 발병률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위암은 초기에 발견할 경우 생존율이 100%에 가깝다. 하지만 4기에 발견될 경우 생존율은 10%로 뚝 떨어지기 때문에 위암은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위암이란 무엇인지 원인, 증상, 치료, 예방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암이란
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뜻한다. 위암의 종류는 위 선암, 림프종암, 위 점막하 종양, 평활 근육종 등이 있다. 위암의 98%는 위 선암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위 선암은 위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점막에서 발생한 후 혹처럼 커지면서 위벽을 타고 이동하여 위 주위 림프절로 옮겨가서 성장한다. 위선은 위액을 분비하는 샘을 말하며 위선암은 이 샘에 암덩어리가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위암은 위의 점막에서 발생하여 시간에 따라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하층, 장막층으로 전이합니다. 위에 넓게 퍼지기도 하고 깊게 퍼지기도 합니다. 위암은 혈류를 통해 간, 폐, 뼈 등에도 전이될 수 있습니다.
위암의 원인
위암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한 가지의 원인보다는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병한다.
1. 식습관 - 오래되고 신선하지 않은 음식을 섭취할 경우, 맵고 짜게 먹는 식습관, 탄 음식, 포장된 육류제품이나 훈제된 육고기를 섭취할 경우 위암의 위험도는 높아진다.
2.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 가장 밀접한 원인으로 보고 있는데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서 기생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는 세균에 의해 감염된 질병을 뜻한다. WHO에서도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을 발암 원인으로 발표했습니다.
3. 유전과 가족력 - 가족 중에 위암에 걸린 사람이 있을 경우 위험은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유전적인 배경 돼 주요 원인입니다. 위암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연구결과로 밝히기도 하였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비슷한 식생활과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때문이라는 의견이 더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위암의 초기증상
위암의 초기증상은 상복부 통증, 답답함, 소화불량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 위암이 진행되면 구토, 체중감소, 전신피로감, 식욕부진, 음식을 삼키기 어려움을 겪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암 진행이 심해지면 상복부에 암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하지만 이때는 말기에 가까운 경우가 많아 예우가 좋지 않습니다. 위암이 생기면 위벽에 상처가 나며 출혈이 생겨 대변이 자장색처럼 검게 나오거나 혈변이나 토혈 등이 생깁니다. 하지만 말기암 위암환자의 경우에도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다.
위암의 진단
초기의 위암은 위조영, 위내시경을 통해 진단하는데 위궤양 가장자리가 울퉁불통하게 나타나며 경계가 선명하게 보인다. 또한 점막주름이 끊어지고 끝부분이 가늘어진 모양을 보인다. 궤양바닥에 출혈이 잇거나 균일하지 않은 백태가 보인다면 2-3기 위암을 의심하고 조직검사한다. 진단 방법은 위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를 통해 위선암의 여부를 판단하고, 초음파내시경을 통해 종양의 전이 정도를 판단한다. 복부 초음파, 복부 CT, MRI 등의 검사를 실시하여 위뿐 아니라 주변 장기에 암조직이 전이되어 있는지 진단한다. 위암은 1-4기로 구분한다.
위암과 위염의 상관관계
여러 원인 때문에 만성 위염이 발생하는데, 만성 위염이 있는 환자들의 모두가 위암으로 발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만성위염과 위암과의 상관관계는 적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모든 암이 그렇지만 위암은 특히 초기에 발견할 경우 100%의 완치율을 보이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벼운 위통증이나 위염증상, 가족력이 있을 경우 같은 위암의심 증상이 생긴다면 병원을 내원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위암을 예방하고 치료 후 예우를 좋게 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