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늘어가는 복부지방 모든 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시간이 갈수록 서구화되는 식습관과 오래 앉아있는 직업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복부지방이 쌓이게 되어 복부비만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 복부비만은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지만 우리 건강에 대표적인 적신호로 볼 수 있다. 복부비만인 경우 정상인 보다 2배 이상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복부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 불임, 생리불순, 지방간, 퇴행성 관절염, 통풍과 관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복부비만은 지금 당장 관리해야 합니다.
복부비만이란
복부비만이란 체중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도 근육량이 많고 지방량이 적으면 비만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복부지방에 따른 비만도를 중요하게 봅니다. 특히 체내에 쌓이는 지방 내장지방형 비만을 중요하게 관리하고 보고 있다. 복부지방은 허리둘레 기준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일 경우 복부비만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경우 복부지방에 대한 관리를 꾸준히 해 주어야 합니다.
복부비만 원인
복부비만의 원인은 쉽게 말하면 먹는 양에 비해 움직임이 적어 섭취한 음식이 에너지로 쓰이지 못하고 체내에 체지방의 형태로 축적이 되기 때문에 생기게 됩니다. 또한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거나 식사시간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고,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복부비만의 원인이 됩니다. 현대 사회는 고열량 음식의 섭취가 늘어나는데 비해 교통수단의 발달로 많이 걷지 않고 일도 컴퓨터를 통해 앉아서 하는 직업이 많아 복부비만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복부비만의 위험성
복부에 지방이 많이 쌓이는 경우 특히 내장지방의 축적이 증가하면 심혈관질환과 대사증후군(신진대사와 관련된 질병)의 발생이 증가한다. 또한 복부지방은 인슐린 저항성 이상으로 이한 당뇨병, 혈관을 막으면서 이상지혈증, 고혈압, 동맥질환등을 일으킨다. 비만은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뇌질환, 당뇨 합병증, 치매, 등 신체의 모든 부분에서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만큼 복부비만이 심해지면 우리 몸의 모든 부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상이 생기게 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사망에 이르지는 않지만 복합적인 질병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위험하다.
복부비만의 예방
1. 식단관리를 통한 예방 - 복부비만은 근본적인 원인이 고열량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단관리를 통해 적당량의 열량을 섭취하고, 몸에 좋은 음식을 섭취한다. 고열량 고지방의 튀김이나 다량의 나트륨이나 탄수화물의 섭취를 제한하고 과일, 통곡류, 지방이 적은 육류, 채소,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통해 복부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2. 운동을 통한 예방 - 복부비만은 많이 먹고 적게 움직여서 생기기 때문에 적당한 운동을 해주어야 한다. 과도한 운동을 일주일에 1-2회 하기보다는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일주일 4-5회 정도 해주는 것이 좋다. 적당한 운동은 자신의 몸 상태에 따라 정해야 하는데 정상인은 보통 60-80% 정도의 강도로 30분 이상 4-5회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고, 비만이거나 체력이 약한 경우 50-60% 정도의 강도로 50분-60분 정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적당하다.
3. 적정 수면시간을 지킨다 - 수면이 부족하면 호르몬의 변화로 공복감을 더 느끼게 된다. 공복감을 느끼게 되면 폭식으로 이어지고 그렇게 되면 복부지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적정 수면시간을 지킨다. 성인의 경우 6-7시간이 적정수면시간으로 수면시간도 중요 하지만 수면의 질을 높여야 한다.
4. 전자기기의 사용을 줄인다 - 스마트폰, tv, 컴퓨터게임 등 앉아서 즐길 수 있는 것이 너무 많다. 이런 스마트기기들이 없던 시절에는 나가서 운동이나 몸으로 하는 게임 등을 많이 했는데 요즘은 스마트기기의 영향으로 움직임이 더욱 없어졌다. 그래서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사용을 줄이고 움직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5. 수분섭취를 늘린다 -수분은 우리 몸에 쌓이는 노폐물과 독소들을 밖으로 배출시켜 주어 우리 몸의 활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루 1-2리터 정도의 물을 마시는 것이 적당합니다.
복부비만은 질병이다.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복부비만을 예방하여 복부비만 합병증을 예방하고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