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잘못된 자세로 스마트폰, PC사용 늘어나면 거북목 심해진다.

    요즘 젊은 사람들 중 거북목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잘못된 자세와 스마트폰, PC사용하여 앉아서 작업하는 일들이 많아 목의 커브가 없어지고 일자로 변형되면서 거북이처럼 앞으로 기울어진 거북목 증후군이 많이 생긴다. 거북목 증후군은 약 230만 명이 가지고 있는 질병으로 현대인의 흔한 증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거북목 증후군이 심해질 경우 목디스크로 이어져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거북목 증후군 이란

    우리의 목뼈는 C자형태의 커브를 가지고 있다. 목뼈는 총 7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정상적인 모습은 귀가 어깨뼈 봉우리와 수직면 상에 있고 7개의 목뼈의 모양은 앞쪽으로 볼록하게 휘어 C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정상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목뼈 모양이 구부러져있는 위쪽과 아래쪽의 목뼈가 일자로 펴지면서 변형되어 고개가 거북이처럼 앞으로 빠진 자세가 된다. 이를 일자목 혹은 거북목 증후군이라 부른다.

    거북목 증후군 원인

    1. 잘못된 자세 - 최근 PC와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장시간 목을 앞으로 내미는 자세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목에 받는 하중은 커지고 이 자세가 지속될 경우 근육이 경직하고 근육이 목뼈를 변형시켜 거북목 자세를 만든다.

    2. 근육량 감소 - 나이가 들거나 앉아만 있고 운동을 하지 않아 목뼈를 붙잡아주는 근육이 약해지면 C자형태의 목뼈를 잡아주지 못하고 일자형태의 목이 빠지는 자세로 쉽게 변형된다.

    보통 위 두 가지 원인으로 거북목이 생기게 되는데 최근 잘못된 자세로 생활하는 습관 때문에 성별, 나이 상관없이 전 연령대에서 거북목이 발생한다.

     

    거북목증후군 자기 진단

    1. 목과 어깨에 통증이 있다.

    2. 두통 어지럼증이 갑자기 생긴다.

    3. 등이 구부정해지고, 목이 옆에서 봤을 때 앞으로 나와있다.

    4. 팔이 저리다.

    5. 자도 피곤하고, 피곤을 쉽게 느낀다.

     

    거북목증후군 예방

    1. 자세를 바르게 한다 - 어깨를 펴고 가슴을 천장으로 한다. 이 자세를 하면 목이 뒤쪽으로 움직이며 배열이 바로 잡힌다.

    2.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내 시선높이에서 사용한다 - PC나 스마트폰을 내 눈높이보다 아래쪽에 두고 사용할 경우 자연스럽게 목이 앞으로 빠지기 때문에 목을 앞으로 숙여 빼지 않아도 되는 높이로 조정한다.

    3. 낮은 베개를 사용한다 - 높은 베개를 사용할 경우 우리 목의 커브를 망가뜨리기 때문에 낮은 베개를 사용하고 베개를 베지 않고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도 도움이 된다.

    4. 스트레칭 - 오래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놓고 어깨와 목의 스트레칭을 꼭 진행한다.

    5. 가방을 앞으로 메는 것이 좋다

    6. 가벼운 운동 - 가벼운 운동을 해주어 목 뼈 주위 근육을 강화시켜 목뼈의 변형을 막아주는 것도 방법이다.

     

    거북목증후군 치료

    1. 자세교정 - 거북목이 심하지 않은 경우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 치료를 이어간다.

    2. 추나요법 - 목 뼈 주변의 근육을 자극하여 뼈의 구조를 교정해 주는 것이다.

    3. 도수치료 - 도수치료를 통해 목뼈 주변의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어 목이 일자로 되는 것을 바로잡아준다.

    4. 약물치료 - 직접적인 약물치료 방법은 없으나 소염제, 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을 사용한다. 목뼈 주위 근육이나 신경에 주사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거북목증후군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질병이지만 정도가 심해지면 통증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커진다. 앉아서 많은 작업들을 하는 요즘 거북목 환자가 주변에 흔하게 있다. 거북목을 그대로 방치하면 목디스크로 진행될 수가 있다. 목디스크로 진행되게 되면 치료가 어려워지고 시간도 더 많이 들기 때문에 디스크로 진행되기 전에 예방해야 한다. 거북목증후군은 잘못된 자세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에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방법이다. 거북목증후군이 심해져 운전이나 장시간 앉아있지도 못하거나 잘 때 통증으로 잠을 청하지 못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올바른 자세가 무너지면 우리의 일상생활도 무너진다.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우리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반응형